에로스와 타나토스
1/ 책속의 문장- 사랑하는 자가 사랑받는 자라는 표현은 지독한 자기애를 슬프도록 아름답게 증거하는 대목이다. 2/ 한 장의 글-인간은 죽음과 입 맞추는 비극적인 사랑에서 사랑의 본질을 직면할 때가 많다. (…) 인간은 불행한 사랑에 저항하며 사랑의 완성을 꿈꾼다. 비록 그것이 실패로 돌아가더라도 죽음을 각오한 사랑을 추구한다. 따라서 사랑의 실패는 패배가 아니고 또 하나의 가능성으로 인식된다. (…) 따라서 사랑은 죽음과 입 맞출때 역설적으로 '사랑을 산다'고 할 수 있다. 3/ 책의 느낌동양과 서양, 과거와 현재를 막론하고 나오는 철학적 문제로서 '사랑'과 '죽음'은 무엇을 반증할까.인류의 공통적인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다.접근하고 해석하는 차이점이 있을 뿐, 그 본질은 차이가 없다. 다만 서양에서는 ..
예술
2016. 2. 23. 10: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