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연과학

빅 히스토리

K민석 2016. 4. 21. 22:36



1/ 책속의 문장

- 농경문명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적인 열쇠는 복합성의 증가입니다. 보다 큰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서 주어진 지역에서 더 많은 자원, 특히 더 많은 식량자원을 획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.



2/ 한 장의 글

-

우리 인간은 한 개인으로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학습하는 종입니다. 집단적으로 학습하고 세대를 이어 정보를 축적하는 능력은 인간에게만 나타나는 독특한 것입니다. 이것은 왜 우리가 다른 환경 속으로 들어가 생존할 수 있는지를 설명해주며, 왜 지구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지속적으로 고안해 낼 수 있는지를 설명해줍니다.



3/ 책의 느낌

우주의 역사 137억년과 인간 개인의 생존기간 100년은 무한에 가까운 차이를 가진다. 

하지만 우리는 이론적으로나마 그 100년의 시간동안 137억년의 역사와 기록을 배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100년 뒤 내가 더 이상 이 세상에서 살아있지 않다고 할지라도 인류는 계속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. 

수많은 임계국면들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. 우주의 생성과 생명의 탄생부터 인류 역사 속에서 새로운 문명의 탄생과 종말까지. 그 국면들에서 반드시 배울 것은 있다. 


한 사람이 살아남기 위한 에너지 소모량은 2,000 칼로리정도이다. 인류 역사의 초기는 모든 이들이 2000칼로리로 동일하게 살아남을 수 있었고 이 칼로리를 채우지 못하는 사람은 굶어죽어야 했다.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선 지금 선진국의 한 사람이 소모하는 에너지는 200,000칼로리이다. 동시에 제3세계의 국가에서는 2,000칼로리를 채우지 못해 아사하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다.



- 데이비드 크리스천, 밥 베인,  빅 히스토리, 해나무, 조지형 옮김, 2014

읽은기간 : 15.5.30. -15.6.4.